티스토리 뷰

기초연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득인정액 부분을 알아야 하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인이 직접 계산해서 유추해보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. 그래서 기초연금 모의계산을 할 수 있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이 입력한 자료를 기초로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.

 

기초연금 모의계산 사이트 이용방법

복지로 홈페이지

네이버, 구글, 다음 포털사이트 중에서 "복지로"로 검색하시면 보건복지부 운영 복지포털로 검색되며 확인 후 들어가시면 됩니다. 복지로 홈페이지 링크는 글 하단에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복지로 이용 순서

복지로 홈페이지 화면 상단 메뉴에서 "복지서비스"를 선택하고 "복지서비스 모의계산"을 선택하여 눌러줍니다.

복지서비스-모의계산-클릭
복지서비스-모의계산-클릭

복지서비스 모의계산을 선택하였으면 바로 첫 번째 보이는 기초연금의 "계산해보기"를 선택하여 눌러줍니다.

기초연금-계산해보기-클릭
기초연금-계산해보기-클릭

아래의 빈칸에 소득과 재산 내역을 입력하시면 소득 인정액이 자동 계산되어 신청 전에 기초연금 수령 여부를 자가 진단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기초연금-내역입력란
기초연금-내역입력란

기본정보에서는 가구 유형과 거주지 구분은 필수로 하도록 되어있고, 소득인정액, 월소득 평가액,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, 거주지별 기본공제 재산 등 자신에 맞는 정보만 제대로 선택하여 눌러줍니다. 소득재산정보 입력란에 오른쪽의 설명란을 확인해보면서 자신에 맞는 정보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
 

기본정보, 소득재산정보를 다 입력하셨으면 결과 보기를 눌러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을 확인하시면 됩니다. 모의계산 결과는 자신이 입력하신 자료를 기초로 제공하며, 실제 정확한 선정 여부 결과는 서비스 신청 후 공적자료 조사를 통해 가능하며, 조회하신 결과는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면 됩니다.

 

꼭 알아두세요!

보통 기초연금을 알아볼 때 기본정보, 소득재산정보, 소득인정액을 계산해야 하고 소득이나 재산, 부채 등 뭐가 이렇게 어렵고 복잡하게 되어있어 자신은 못 받을 거라 짐작하셔서 신청 자체를 안 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.

 

이 글을 읽게 되는 분은 신청자 본인이시거나 아들이나 딸 혹은 며느리 손자들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. 신청자의 재산이나 소득 등이 많거나 적거 나를 떠나서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시라면 꼭 기초연금 신청하셔서 복지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.

 

아래 하단의 복지로 홈페이지 링크를 통해 기초연금 모의계산을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.

 

 

메인 -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

 

www.bokjiro.go.kr

 

더 읽어보면 좋은 글

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월예상연금액표

댓글